콘텐츠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


서브비주얼

자연경관이 수려한 청정지역 상면!

마을의 역사/유래

  • 상면연혁
    상면 ( 上面 ) 은 가평군 서쪽에 위치한 면으로서 하면 ( 下面 ) 과 더불어 고구려 시대에는 심천 ( 深川 깊은내 · 깊으내 ) 또는 복사매 ( 伏斯買 ) 라 불렀고 , 신라시대에는 준천 ( 浚川 ) 현이었고 , 고려조 현종 ( 顯宗 9) 년대에 이르러 조종현 ( 朝宗縣 ) 이라 개명하였으며 상면은 조종상면 ( 朝宗上面 ) 이라 하였다. 이 당시에는 가평군과 더불어 강원도 춘주부 ( 春州府 춘천 ) 에 예속되었고 1396 년 태조가 등극한 후 가평군은 현이 되어 감무 ( 監務 ) 가 부임하면서부터 조종현 을 가평현에 통합되었다. 1413 년 ( 太宗 13) 가평현에는 현감이 부임하고 경기도로 편입되었으며 이때는 양주진 ( 揚汎 { 鎭 ) 의 감리를 받았다. 1698 년 ( 肅宗 24) 태봉리에서 세거 ( 世居 ) 하는 연안 이씨로써 영의정이 된 이천보 ( 李天輔 ) 가 출생하였다.
    그후로도 관할구역은 그대로인 채 가평군과 더불어 강원도 경기도를 오고가며 예속되다가 1896 년 가평군이 독립되고 6 개면의 하나가 되었다 1871 년 당시에 제작된 가평군읍지에 이르면 조종상면에는 자연행정부락이 율길리 ( 栗吉里 ), 봉수리 ( 熢燧里 ), 원흥촌 ( 元興村 ), 상동 ( 霜洞 ), 태봉동 ( 胎封洞 ), 연하리 ( 蓮下里 ), 반계동 ( 盤溪洞 ), 항사리 ( 項 7 少里 ), 와가동 ( 瓦家洞 ), 천곡 ( 泉谷 ), 평촌 ( 坪村 ), 행현 ( 杏峴 ), 축령리 ( 祝靈里 ), 임초리 ( 林草里 ), 덕현리 ( 德峴里 ), 조가터 ( 曺哥垈 ), 간성대 ( 竿城垈 ) 등 17 개동에 전체호수 ( 戶數 ) 가 438 호였다고 기록됨을 볼 수 있다.
상면연혁
1912 년 이전(以前) 상하면(上下面)을 조종내(朝宗內)라 칭(稱)하고 16 개리(個里) 편성(編成) , 상하면(上下面)을 개편(改編) 본면(本面)을 상면(上面)이라 칭(稱)함
1952 년 행정구역(行政區域)을 9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1953 년 태봉리(胎封里)를 1, 2 리(里) 분할(分割) 10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1972 년 행현리(杏峴里)를 1, 2 리(里) 분할(分割) 11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1980 년 연하리(連下里)를 1, 2 리(里) 분할(分割) 12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1982 년 율길리(栗吉里)를 1, 2 리(里) 분할(分割) 13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1983 년 임초리(林草里)를 1, 2 리里 분할(分割) 14 개리(個里)로 개편(改編)
2016 년 태봉1리(胎封1里)를 태봉리(胎封里), 태봉2리(胎封2里)를 원흥리(元興里)로 개칭(改稱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