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야별 정보

소해면상뇌증(BSE, 일명 狂牛病)

원인체

  • 원인체 :『비정상적인 변형 프리온(Prion) 단백질』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
  • 특 성 : 3기압의 조건으로 133℃에서 20분 이상 열처리하거나 2N 수산화 나트륨 또는 2% 차아염소산으로 20℃에서 하루밤 이상 소독하여야 프리온을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잠복기 : 수개월에서 수년으로 다양하나 평균 3∼5년 이상의 긴 잠복기를 거친 후 발병합니다.
  • 전파방법 : 스크래피에 걸린 양이나 소해면상뇌증에 걸린 소의 생산물 (육골분, 골분 등)을 사료로 섭취함으로써 감염됩니다.

임상증상 및 병리소견

  • 초기증세는 빛과 소리와 같은 조그만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쉽게 흥분하며, 불안해 하고, 체중 및 유량 감소도 관찰됩니다.
  • 골반 및 후지의 이상으로 보행장애 등 신경증상을 나타내고, 말기에는 기립 불능, 전신마비 등으로 인하여 결국 폐사하게 됩니다.
  • 병리조직학적 검사시 뇌에서 스폰지 형태의 공포형성 병변을 특징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임상관찰 요령 및 이상증세가 있을 경우 조치요령 (Link 1)

진단 방법

BSE는 임상증상에 의해 잠정적으로 진단되지만 감염소의 뇌조직에 대한 실험실 정밀검사로만 확정할 수 있고 , 현재로서는 살아있는 소에 대하여 확진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없습니다.

소해면상뇌증(BSE) 임상관찰 요령 및 이상증세가 있을 경우 조치요령

임상관찰 요령

주로 30개월령 이상의 소에서 다음과 같은 임상증상을 보임

  • 움직이기를 싫어하거나 불안한 상태로 무리에서 떨어져 있는 소
  • 빛이나 소리, 경미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울음소리가 이상한 소
  • 최근들어 체중이 급격히 줄었거나 유량이 감소한 소
  • 골반 및 후지의 이상으로 보행장애 등의 신경증상을 보이는 소
  • 기립불능이나 전신마비를 일으키는 소

임상관찰 요령

  • 이상증상을 이는 개체가 있을 경우에는 즉시 격리 수용
  • 관할 가축방역기관에 신속히 신고하여 조치를 받도록 함

소해면산뇌증(BSE) 진단 방법

임상검사

  • 신경 증상 : 골반 및 후지의 이상으로 보행장애 등 신경증상을 나타내고, 말기에는 보행 이상, 기립불능, 전신마비 등으로 인하여 결국 폐사하게 된다.
  • 과민 반응 : 초기 증세는 빛과 소리와 같은 조그만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 등 이상행동을 하고 쉽게 흥분하며, 불안해하고, 체중 및 유량 감소도 관찰된다

실험실 검사

  • 검사시료 : 뇌간(腦幹 : 중뇌, 뇌교, 연수) 및 척수(경수) 조직
  • 검사방법 :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학적 검사
    • 조직학적 검사 : 죽은소의 뇌조직을 검사
      • 광학현미경 : 병변관찰(H-E염색, 면역화학염색)
      • 전자현미경 : Tubulofilament 관찰
    • SAF(Scrapie Associated Fibril)검사 : 냉동보관된 뇌조직을 마쇄후 변형프리온(PrP) 추출
      • Western blot법: 냉동보관된 뇌조직에서 변형프리온 단백질을 추출한후 전기영동으로 검출하는 방법
      • ELISA
만족도 조사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
최대 200Byte (한글100자) 이내 (현재 )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부서 : 가축방역팀
  • 연락처 : 031-580-4763
  • 수정일 : 2023.02.07